![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YxG2I%2FbtrSqth1Xla%2FR7k65zphKindpO3wKA3wPk%2Fimg.png)
[CSS] div 끝부분 여백 없애는 방법
2022. 11. 29. 15:32
Front/CSS
간혹 개발을 하다보면 끝 부분에 약간의 여백이 남아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Example 이것을 좀 확대 해보면 저 빨간 줄에 약간의 공백이 있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속성은 보통 한줄 끝까지 먹히는 것 으로 알고 있는데, 참,, 무슨 오류인가 싶었다. 개발자모드로 확인해보니.... body에 margin 이 잡혀있었다.. 그래서 margin: 0; 을 해주니까 해결이 되었다.. To be continu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d7zSi%2FbtrSjuJqhOE%2FDJUAKPbgwZnMSba8JcvPUk%2Fimg.png)
[JSP] getContextPath 사용방법
2022. 11. 29. 12:51
Front/JSP
생각보다 간략하게 사용 할 수 있다. method 시작하기 버튼을 눌럿을 때 넘어가도록 해보겠습니다. 현재 메인 페이지가 localhsot:9090/o2.platform/ 라고 한다면 = localhost:9090/o2.platform/ 인 상태 인것이다. /tutorial = localhsot:9090/o2.platform/tutorial/ 다음과 같이 /tutorial을 포함시키면 이런식으로 사용 되는것을 알 수 있다. 이런식으로 페이지가 이동하게 된다. To be continue..
[JSP] JSP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여러가지 방법
2022. 11. 29. 11:34
Front/JSP
바로 들어가보자. getContextPath() 프로젝트 Path만 가져온다. request.getContextPath() 예) http://localhost:9090/project/list.jsp [return]/project getRequstURI() 프로젝트 + 파일경로까지 가져온다. request.getRequestURI() 예) http://localhost:9090/project/list.jsp [return] /project/list.jsp String url = request.getRequestURI.split("/"); String Name = url[url.length -1]; // list.jsp getRequestURL() 전체 경로를 가져온다. request.getRequestUR..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niWuC%2FbtrSgaK5YkD%2FqKBVMZ2k2UnpQGQaBkzxAk%2Fimg.png)
[Toefl] 토플 단어 (6)
2022. 11. 28. 20:48
Toefl
바로 드가자 corroborate 입증하다. 제공하다. inagulate 개시하다. 시작하다. urbane 세련된 burgeoning 급증하는 terrestrial 육지의 adorn 장식하다. 꾸미다. diversion 주의전환물 aggravate 악화시키다. meticulously 꼼꼼히 reciprocal 상호 간의 (a) propulsion 추진 resolute 확고한 To be continu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eAmiO%2FbtrSjvBsrml%2F2KhiCt81oPGg4hCrcZj8ok%2Fimg.png)
[CSS] CSS depth / 구체적으로 스타일 적용시키기
2022. 11. 28. 17:49
Front/CSS
CSS를 스타일 잡아줄 때 하나하나 세세하게 주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하고자한다. 스타일을 하나하나 주어야 하는 이유는 바로 "가독성" 때문이다. Example 다음 과 같은 CSS가 어떻게 쓰여 있는지 알겠는가? #TIp .main_version 이라면 html에 #main_version 이라면 html에 다음 과 같이 사용 해야 스타일이 적용이 된다. 그럼 이제 depth 의 개념에 대해서 들어가보자. 더 구체적으로 .main_version .title { 속성 } 이런식으로 사용 하였을 때, class="main_verison" 안에있는 요소들 중에 class="title" 이라는 녀석에게 스타일을 적용시키겠다. 이런 의미이다. 한번 더 부분의 폰트 색깔을 green 으로 바꾸어 볼까?? 다음과 ..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Dvmd6%2FbtrSkELKKRk%2F0e1mkAi9kfFiX56xv3kkFk%2Fimg.png)
[CSS] 내가 사용해본 CSS에 기능
2022. 11. 28. 16:54
Front/CSS
까먹을까봐 또 미리미리 포스팅하려고 하는 언덕위의 제임스 입니다...... body { font-family : KoPubDotum Bold; // 어떤 폰트를 사용할 것 인가? background-color: #2a2a2a; // 배경 색깔은 어떤거로 사용 할 것인가? } .backimg{ // 배경 이미지 height: 800px; // 배경 이미지의 높이는? background: url(../../img/main2.png); // 배경 이미지 가져오기 background-size: cover; // 배경 이미지 확대/ 축소 기능 position: relative; // z-index의 기준을 잡는 기준점 / z-index 사용시 필수요소임 z-index: 1; // 요소의 몇번째 층으로 사용할 것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