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KxLsz%2FbtrTDlYOLhp%2FCwhLiAPzUvjsQ1Klvthi31%2Fimg.png)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onClick() 사용방법
2022. 12. 15. 11:28
Front/JavaScript
클릭 이벤트를 직접 주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onClick(); Method 일반적으로 addEventListener를 많이 사용해서 함수를 호출 하는 경우도 많지만 굳이 그렇게 사용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호출 할 수 있다. 다음처럼 버튼 안에다가 onClick="함수명()" 이렇게 선언해주면 자동으로 자바스크립트 내의 함수를 호출 시킨다. 정말 잘 작동 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개발자 모드에 들어가서 확인해보면 당연하게 함수를 잘 호출 하고 있다. 그리고 input 에도 사용 할 수 있다. To be continu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4cFqp%2FbtrTFgvkafr%2F4L3upoPVP1KSpbJ7xFc5v0%2Fimg.png)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console.stop() 사용방법
2022. 12. 15. 09:40
Front/JavaScript
자바스크립트를 중간에 멈추게 만들고 싶으면 console.stop(); 다음 이벤트를 사용하면 된다. Method 다음처럼 아래에 새로 만들어질 요소들이 있는데, console.stop(); 을 만나게 되면 아래로 넘어가지 않고 멈추지게 된다. 이제 여기서 진짜 콘솔스탑이 들어오게 되면 다음과 같이 작동을 하게되고 바로 끝나게 되는 프로세스가 나타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버튼이 하나 없어진것을 확인 할 수 있다. To be continu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bcjab%2FbtrTDYAoF2T%2F4d0tcYSMIck0gkfBra8JH1%2Fimg.png)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contains 사용방법
2022. 12. 14. 11:39
Front/JavaScript
바로 들어가자 Method 간략하게 설명을 해보자면 contains 란 녀석은... 맞으면 실행, 틀리면 실행하지마 이런 역할을 하는 속성을 지녔다. contains contains 의 경우 삼항연산자를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 처럼 if 문을 사용하여도 상관은 없다. on이 없으니까 innerHTML 에서 off 를 띄우고 on이 생기니까 참 값이니 on이 생긴다. To be continu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rZlyS%2FbtrTzDc8xoV%2FkWqqM6fZB1WlUke7Ov2Q31%2Fimg.png)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classList 사용방법
2022. 12. 14. 11:26
Front/JavaScript
일단 classList 가 무엇인지 알아야겠다. Method classList의 특성은 읽기 기능의 특성이라고 보면된다. 사용가능한 속성으로는 add, remove, toggle 이 세가지가 있다. add는 class 를 추가 하는것 remove는 class 제거 하는 것 toggle은 추가 제거 하는 것. add 사용법은 간단하다. 다음 적어 놓을 부분을 유심히 보면 되겠다. 저렇게 사용하면 개발자 모드본 결과 newButton.classList.add(); 로 인해 class 안에 class1, class22, class55 요소가 생성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revmove는 간단해서 생략하겠다. toogle 토글 기능은 말 그래도 추가 하였다가, 제거 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this.class..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oXsRz%2FbtrTzwyr938%2FKnk9eNyzvTfeqjVfrQcI70%2Fimg.png)
[HTML] href와 data-url의 차이
2022. 12. 14. 10:35
Front/HTML
솔직하게 이것도 약간 입맛에 맛게 사용하는 것 같다. Method 다음을 간략하게 설명 해보자면 href 는 HTML에 주요 사용하는 페이지 이동하는 기술이다. 를 이용해서 사용한다. 반면 data-url 은 href와 마찬가지로 페이지간 이동이 가능하지만 자바스크릡트 코드에서 사용하는 용도이다. 그리고 data-url 은 커스텀 데이터를 저장하여 독단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표준 HTML 방식은 아니다. 그래서 HTML에서 사용할 때는 사실 href가 맞는 것 같다. 자바스크립트 코드에서 사용할 때는 data-url 이 맞고, 아무튼 그렇다. To be continu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ro5IQ%2FbtrTAclSHzY%2FNCeY7tNcJJkOGLsuf1OLt0%2Fimg.png)
[IT] 우클릭 지연현상 해결하는 완쾌한 방법
2022. 12. 13. 22:58
IT
자..그럼 바로 시작! Method 참 우클릭이 뭐라고 사람 가슴을 울리는지 모르겠다... 나는 우클릭 속성이 나오려면 15초 이상 기다려야했다... window + R 누르면 탐색기 나온다. 다음과 같이 검색 이렇게 찾아들어오면 Desktop 안에 MenuShowDelay 있음 이거 더블클릭해서 400 -> 0 으로 변경해주면 된다. 그리고 재부팅 그럼 우클릭이 엄청 빨라져있을 것이다.. 그럼 20000.... 이게 안되면 다시 서칭시작하시길./.. To be continue..